

할로윈데이 (Halloween)
10월 31일
10월 31일이 되면 저마다 독특한 분장을 한 수십 명의 어린이들이 이웃집 문을 두드리고, 문이 열리면 ‘트릭 오어 트릿(Trick or Treat, ‘사탕 안 주면 장난칠 거에요’의 의미)’라고 외친다. 해적과 공주, 유령, 그날의 인기 있는 남녀 영웅들이 모두 이웃들이 나누어 주는 사탕이나 다른 맛난 것을 받기 위해 가방을 벌린다. 이웃들은 사탕을 주면서 아이들의 의상에 놀라 소리를 지르기도 하고 가면 속 아이가 누구인지 맞추려 한다.
미국의 다른 일부 휴일처럼 할로윈 의상은 여러 다른 전통이 혼합되면서 발전했다. ‘할로윈’이라는 말은 ‘올 할로우스 이브(All Hallows’ Eve)’라는 기원전 800년대 휴일의 이름에서 기원했다. 이날은 성스러운 날로 기념되던 11월 1일 ‘모든 성인의 날’ 전날 저녁이었다. 하지만 할로윈의 유래는 그보다 더 먼 옛날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에 10월 31일은 켈트족의 새해 전날이었다. 2000년도 넘는 옛날에 살았던 켈트족은 지금의 아일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 사람들의 선조다. 이날 켈트족은 켈트족의 망자들의 왕을 기리는 삼하인 축제를 열었다. 이들은 삼하인이 저녁에는 귀신들이 걸어 다니며 산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도록 해준다고 믿었다. 사람들은 하루 종일 음식을 만들고, 밤이 되면 동물 머리와 가죽으로 치장한 채로 드루이드라고 불리던 성직자들이 주도하는 대형 모닥불 행사에 참석했다. 이들은 새해가 되기 전에 귀신들이 평화롭게 떠나기를 바라면서 자신들이 만든 음식을 마을 변두리로 가져가 혼령들이 찾을 수 있도록 남겨 두었다. 또한 삼하인 축제는 일년 중 추수기의 끝이자 춥고 어두운 시기의 시작을 의미했다.
한참 후, 10월 31일은 더 이상 한 해의 마지막 날이 아니었지만 수확을 축하하고 망자를 기리는 가을 축제는 계속됐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할로윈은 주로 어린이들을 위한 날이 됐다. ‘유령들’이 집집마다 다니며 사탕을 요구하고, 사탕을 주지 않으면 집 주인에게 짓궂은 장난을 친다는 것이다. 1840년대에 아일랜드, 영국, 기타 켈트족 후예들의 국가에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미국으로 이민을 오면서 할로윈 전통도 함께 유입됐다.
오늘날 많은 학교에서 할로윈 축제를 계획하며, 일부 동네에서는 남녀노소 모두 좋아하는 ‘블록 파티’라는 파티를 연다. 보다 최근에는 성인들 역시 할로윈을 기념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역사 속 인물이나 정치인, 영화배우, 만화 속 캐릭터처럼 차려 입고 가장무도회나 시에서 후원하는 거리 파티에 참석한다. 많은 도시에서는 할로윈 분장을 한 자녀들과 부모가 초저녁에 쇼핑몰에서 만나기도 한다. 상점과 회사들도 어린이들을 위한 게임과 간식거리를 준비해 파티를 연다. 10대 청소년들 역시 학교에서 개성 있는 복장으로 춤을 즐기는데 더 기상천외한 의상일수록 더 환영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