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버이날
5월 8일
매년 5월8일은 어버이날이다. 요즘에는 ‘어버이’라고 하면 다른 이미지가 먼저 떠오를 수도 있지만, 미국의 ‘어머니날’에서 출발한 세계의 어버이날은 전쟁의 아픔을 치유하기 위한 숭고한 정신에서 기원했다. 어머니날(어버이날)은 169개국에서 기념한다. 미국과 일본, 중국, 벨기에, 쿠바, 독일, 핀란드, 케냐, 페루, 터키, 우간다, 스위스 등 84개국은 매년 5월 둘째주 일요일을 어머니날로 정하고 있다.
어머니날과 아버지날을 따로 챙기는 나라도 많지만 한국은 1956년 어머니날을 만들었다가 1973년 어버이날로 이름을 바꿔 부모 모두에게 감사하는 날로 정했다. 여러 나라가 어머니날을 지정하게 된 데에는 미국의 영향이 크다. 미국 어머니날의 기원은 1800년대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남북전쟁이 끝난 지 3년 뒤인 1868년, 앤 자비스라는 여성이 ‘어머니들의 우정의 날’을 만들었다. 내전의 상처는 깊었고, 전쟁에서 자식이 다쳤거나 먼저 다른 세상으로 떠나보내야 했던 어머니들끼리 위로하고 응원하는 모임이 이어졌다.
어머니날이 공식적으로 제정된 데는 자비스의 사망이 계기가 됐다. 자비스의 딸 애나는 1905년 5월9일 타인의 상처를 보듬으려 노력했던 어머니를 기억하기 위해 웨스트버지니아의 한 교회에서 ‘어머니를 기억하는 모임’을 만들었다. 이런 모임이 각지로 퍼져나가자 1914년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전사한 아들을 둔 어머니들의 노고를 기리는 날을 정하겠다고 선언했다. 1934년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은 어머니날을 공휴일로 지정했다.
어머니날을 상징하는 꽃은 카네이션이다. 카네이션은 자비스가 생전에 좋아하던 꽃이었다. 원래 흰색 카네이션이 어머니날을 대표하는 꽃으로 쓰였는데 흰 카네이션의 품귀 현상이 일어나자, 어머니가 살아계시면 분홍색 카네이션을 쓰고 돌아가신 경우에만 흰 카네이션을 쓰는 것으로 바뀌었다. 카네이션 대신 붉은 장미를 선물하기도 한다.
어머니날은 종교와도 관련이 깊다. 영국은 3월 마지막 주 일요일을 어머니날로 정했다. 부활절 3주 전이어서 ‘마더링 선데이’라고도 부른다. 가톨릭 국가들에선 성모마리아의날을 어머니날로 기리기도 한다. 볼리비아는 여성들이 전쟁에 참여했던 것을 기념한다. 베트남과 라오스, 세르비아, 타지키스탄, 세르비아, 카자흐스탄, 알바니아 등은 세계여성의날인 3월8일을 어머니날로 여긴다. 여성차별로 악명 높은 아프가니스탄도 이날을 어머니날로 정했다. 1910년 미국에서 어머니날이 정해진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아버지날도 지정됐다. 아버지날은 현재 105개국에서 기념하고 있다.